본문 바로가기

부동산 투자 정보

저금리 시대의 부동산 투자방법

저금리라고 하면 단순히 금리가 낮다는 수준으로 이해를 했으나, 그보다 더한 일본의 마이너스 금리를 떠올릴수도 있다. 마이너스 금리는 중앙은행의 기준금리가 마이너스가 된다는 것이며, 초저금리 시기에는 단기금리가 일시적으로 마이너스가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인플레이션이 발생하여 물가 상승률이 높은 시기의 저금리 예금이라면 명목금리가 플러스라고 하더라도 실질 금리는 마이너스가 된다. 우리나라는경제 여건상으로 볼때 도입은 어려울 것으로 보지만, 지금처럼 저금리를 유지할것으로보인다. 국내의 저성장과 세계경제의 코로나19 영향으로 부터 돈의 가치는 점점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런시기에 투자는 어디에 투자를 해야하는가에 대한 생각을 해보고자 한다.

주식투자의 경우를 보면 액면 금액 500원의 주권을 회사의 실적과 장래성을 고려하여 투자가의 각기 다른투자판단에 따라 수천원부터 높게는 수십만원에 이르는 가격으로 날마다 시시각각 매매되는 시스템이다. 만일 투자한 회사가 파산하면 주식은 무가치한 휴지가 되는 매우 큰 위험을 수반한다고 할수 있다.

 

저금리시대에 저축은 이자수익을 얻기보다는 투자를 위한 종자돈을 모으기 위한 수단일 뿐이다.

물론, 가장 안전한 방법이긴 하지만, 저금리시대에서의 투자방법으로 보면 최하위 방법이다.

 

저상장 저금리 시대에는 부동산 투자가 안정된 수익을 얻을수 있는 가능성이 높아 주목을 받는다. 부동산은 다른 투자대상과는 달리 가상이 아닌 진짜 재산으로, 부동산 자산을 보유하는 것에는 큰 안정감과 위험 감소 요인이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위험 감소 요인으로는 부동산이 가져다주는 임대료 수익과 매각이익등 안정적인 수익을 거둘수 있다.

 

따라서, 부동산 투자는 담보능력과 자금조달 능력이 있다는 것이 가장 큰 특징이다. 소액 자금으로 투자를 시작하는 것도 가능하다. 부동산을 취득하면 금융기관에서 대출을 받을 수 있고, 부동산 평가액 이내라면 언제라도 자금을 조달할 수있다. 요즘은 국내 아파트의 경우 조정대상지역에서의 대출에 대한 법적제한이 많아 위의 케이스가 적용된다고는 볼수 없다.

 

부동산을 임대하여 안정적인 수익을 얻음으로써 장기적으로는 노후자금을 보완하는 것도 가능하다. 

경제 저성장의 시기에는 부동산 자산을 보유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지속적으로 현금을 얻을수 있도록 하는것이 중요하다.

 

현재 투자할 자본이 부족하다면, 저금리 시대는 대출을 활용하여 부동산 자산에 투자하는 것도 좋은 방법이다.

대출로 자산을 취득하면 자본투자대비 수익율이 대출금리와 임대이율의 차이가 커짐으로 수익율이 상승한다. 투자한 자본대비 년 임대료에서 년 대출이자를 뺀 이익금의 비율이 자본투자대비 수익율이 된다. 해당 수익율이 좋을수록 자산소득이 증가하여 안정적인 자금운용이 가능하다.

 

자본투자대비 수익율 예시로 아래 이미지는 현재 분양중인 상가의 자본대비 수익율 계산표이다.

 

 

장래의 안정적인 매월 현금흐름을 얻을수 있는 부동산 자산투자에 관심을 가져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