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아파트 수요 공급 분석 : 아파트 가격 전망
서울시 아파트의 가격은 어떻게 변화될까요?
서울시 아파트값의 변화를 수요/공급요소로만 예상해 봤습니다.
모든 상품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법칙을 기본으로 하지만, 부동산은 정부정책/금리/시장상황에 따라서도 많이 변하기때문에 한두가지 요소만으로 판단할수는 없습니다.
이번 전망은 모든 가격영향요소는 배제하고 단순히 수요 공급으로만 #서울아파트값 전망해 보겠습니다.
#수요 #공급 으로만 전망하는 #서울시 의 #아파트값 은 향후에 어떻게 변화할까요?
먼저, 서울의 수요량과 공급량(입주량)을 보시죠.

2019년은 공급이 수요량을 초과하였습니다.
6만의 공급량대비 수요는 4만9천의 수요로 공급이 1만정도 더 많습니다.
하지만, 4만9천의 수요는 2020년 이후에도 비슷하지만, 공급은 2020년 4만3천, 2021년 2만1천, 2020년 1만3천으로 급격히 줄어듭니다.
그러면, 서울시의 구별로 그래프의 수요 및 공급을 수치로 볼까요.

.
.

대체적으로 구별로 차이가 있으나, 2020년은 부족이 많이보이기 시작하다가, 2021년은 과반이 부족으로 바뀝니다.,
제가 거주하는 강동구만 보면 2020년까지는 공급이 더 많습니다. 상일동역 주변으로 많은 공급이 이뤄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강동구도 2022년부터 수요가(2,222) 공급(0)을 넘어섭니다.
그러면, 저희가 잘 알고있는 수요공급의 법칙원리인 수요가 많고 공급이 적으면 가격은 올라간다.
단순히 수요공급의 법칙으로 본다면, 아파트의 가격은 상승하게 됩니다.
수요 공급의 법칙으로만 보면, 서울 강동구 아파트의 가격은 2022년 부터는 가격상승 요인이 발생합니다.
서울시의 다른구의 경우에도 수치상으로 2021년부터는 수요보다 공급이 부족한 경우가 더 많습니다.
결론적으로 서울시의 아파트값은 수요공급의 법칙으로 본다면, '2021년부터 서울시의 아파트값은 서서히 상승하게 된다'라는 전망이 가능합니다.
#서울아파트값전망 은 #수요공급법칙 으로만 전망한 간단분석기입니다.